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 ISA 절세계좌란? 어떻게 얼마나 절세되는가?

by 지블로거 2025. 3.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지블로거입니다.

이제 곧 해외주식 양도소득세 신고기간이 돌아옵니다.

보통 4월에 신청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관련해서 어떻게 하면 세금을 줄일수 있을까 알아보다가

ISA라는 상품을 알게되었습니다.

그래서 오늘 제가 알아본 내용을 제 기억에도 남기고, 여러분께 공유도 해볼 목적으로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SA(Individual Savings Account,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저는 주로 미국주식에 투가하고 있기때문에, 1년간 주식매매로 수익을 얻으면 수익의 약 22%의 세금으로 내고 있습니다.

물론 수익이 없으면 내지는 않습니다.

그리고 $JEPQ, #QYLD, #SCHD와 같은 배당주에서 받는 배당금도 15% 정도 배당소득세를 내고, 2000만원 초과시 종합소득세의 압박도  고민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ISA를 알아보면서 몇가지 장/단점이 보였습니다.

그래서 해당부분 같이 이야기 나눠보려고 합니다.

 

Q1. 해외 ETF에 투자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

다만, 조건과 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SA 계좌 종류

1. 신탁형 ISA

 은행, 증권사에서 운영

 투자 대상이 제한적임 (해외 ETF는 일부만 가능)

2. 일임형 ISA

 자산운용사가 투자전략에 맞춰 운용

 투자자가 직접 종목을 고르지 않음

 해외 ETF 포함 가능

3. 중개형 ISA (가장 자유로움)

 투자자가 직접 해외 ETF를 선택하고 매매

 해외 주식, 해외 ETF 투자 모두 가능

 

Q2. ISA로 투자시 장점은 무엇이 있나요? 그리고 주의사항은 뭐가 있나요?

ISA에서 해외 ETF 투자할 때 장점

 비과세 혜택:

 순이익 200만 원까지 비과세 (서민형/농어민형은 400만 원)

 초과분은 분리과세 9.9% (종합과세 아님)

 해외 ETF 환차익도 과세 대상이지만, ISA로 일정 부분은 절세 가능

 

 

주의사항

 중개형 ISA여야 해외 ETF 직접 투자 가능

 5년 이상 유지해야 비과세 혜택을 온전히 받을 수 있음

 연간 납입한도: 최대 2,000만 원

 총한도: 1억 원

 중도 인출 시 혜택 일부 제한

 

Q3. $JEPQ와 같이 내가 직접 골라서 직접 투자가능한가요?

1. JEPQ는 어떤 ETF인가요?

 운용사: JP Morgan

 종목 코드: JEPQ (미국 상장)

 투자 내용: 나스닥 100 기반 + 옵션 프리미엄 수익 추구

 분배금(배당) 위주 ETF로, 매달 배당이 나옵니다.

 

2. ISA 계좌로 JEPQ 살 수 있나요?

가능 여부: ISA 종류에 따라 다름!

ISA 종류 JEPQ 매수 가능 여부
신탁형 불가능 또는 제한적 (증권사마다 다름)
일임형 보통 불가능 (직접 종목 선택 불가)
중개형 가능

즉, “중개형 ISA”라면 JEPQ 매수 가능합니다.

 

3. 중개형 ISA로 JEPQ 사는 법

1. 중개형 ISA 개설 (미래에셋, 삼성증권, 한국투자, 키움 등 가능)

2. 해외 주식 투자 활성화 (W-8BEN 제출)

3. 미국 주식 거래 가능 계좌로 환전 후

4. JEPQ 매수 가능 (나스닥 상장 ETF니까 미국 주식 취급)

 

4. 세금 혜택

 배당소득(분배금): 미국에서 15% 원천징수

 양도차익: ISA 비과세 한도 내에서 절세 가능

 비과세 한도 초과 시 9.9% 분리과세

 

Q4. 미래에셋 중개형 ISA에세 양도소득세 1억, 배당소득 1억 발생시 만기 세금은 어떻게 될까?

기본 전제

 중개형 ISA, 5년 이상 유지

 일반형 (비과세 한도 200만 원) 기준

 분리과세 적용 (기본공제 없음)

 배당소득은 해외 ETF 기준 (15% 미국 원천징수 이미 포함 가정)

 

1. ISA 비과세 혜택 요약

항목 혜택
순이익 200만원까지 전액 비과세
200만원 초과수익 9.9% 분리과세

 

2. 세금 계산

● 양도차익: 1억 원

 비과세 200만 원 제외한 9,800만 원에 과세

 9,800만 원 × 9.9% = 970만 원

● 배당소득: 1억 원

 ISA에서는 배당소득도 9.9% 분리과세

 1억 원 × 9.9% = 990만 원

(미국에서 15% 원천징수는 ISA 세금 계산과는 별개로 이미 징수된 것)

항목0 세금
양도차익 세금 970만원
배당소득 세금 990만원
합계 1,960만원

요약

 총 수익 2억 원 중

세금은 약 1,960만 원

 실수령 금액 약 1억 8,040만 원

 

Q5. ISA 로 받은 배당소득은 2000만원이 넘어도 분리과세고, 건보료나 국민연금 증액 영향은?
구분 내용
과세방식 순이익 200만원 초과분은 9.9% 분리과세
종합소득세 합산 여부 X ( 분리과세임)
건강보험료 반영 X (소득 파악 자료에 포함 안됨)
국민연금 납입액 증가 영향없음 (소득 신고 안됨)

 ISA 내 배당소득은 ‘금융소득’이지만

**분리과세(9.9%)**로 끝나기 때문에

종합과세 대상이 아닙니다.

 따라서,

 건강보험 지역가입자의 보험료 산정 시 반영 안 됨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소득 산정에도 영향 없음

 

Q6. 일반계좌랑 ISA 계좌랑 차이점은?
  일반계좌 ISA 계좌
과세방식 원천징수+종합과세 비과세+분리과세(9.9%)
비과세 한도 없음 200만원
초과분 과세율 최대 49.5% 9.9% 고정세율(분리과세)
건강보험료 영향 있음 없음
국민연금 영향 있음 없음
배당소득 종합소득 합산 O X

 

 

정리하자면:

 ISA는 투자 수익에 대한 세금 절약에 초점

 연말정산에서 환급이나 공제 효과는 없다

 만약 연말정산 환급을 원한다면,

연금저축이나 IRP를 병행해야 함

반응형

'투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ETF공부] QQQ와 QQQM 비교  (1) 2025.03.03
[공부] 주식 매수하기전에 봅시다. RSI  (0) 2025.02.07
$MSTR 상황과 $MSTZ로 수익내기  (1) 2024.11.26
QQQ vs QQQM 비교  (1) 2024.11.26
TLT, TMF 비교  (0) 2024.11.25